본문 바로가기
경제

엔데믹 후 해외 결제,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토스가 대세? 폭발적 성장 분석!

by 핀노 2025. 3. 24.
반응형

오랜 팬데믹의 터널을 지나 엔데믹 시대가 도래하면서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가 거세게 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국내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 이른바 '페이 3사'로 불리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의 해외 결제 규모 또한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현금이나 신용카드 위주였던 해외 결제 시장에 간편결제 바람이 불면서, 국내 페이 서비스들이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는 것일까요? 그 성장세를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 엔데믹 이후 폭발적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와 간편결제 성장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꽁꽁 묶였던 해외여행 심리가 엔데믹을 맞이하며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관광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 655만 명 수준이었던 해외여행객 수는 2023년 무려 2,868만 명을 넘어서며 2년 사이 4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해외 관광 지출액 또한 같은 기간 179억 달러에서 264억 달러로 크게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해외여행 수요 급증은 자연스럽게 해외 결제 시장의 확대로 이어졌고, 특히 QR코드 등 간편한 결제 방식을 선호하는 트렌드와 맞물려 국내 페이 3사의 해외 결제 규모가 눈에 띄게 성장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 443% 폭증! 국내 페이 3사의 해외 결제액 분석 (2022년 vs 2023년)

국회 정무위원회 김현정 의원실의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의 해외 결제액 합산은 2022년 1,177억 3,400만 원에서 2023년 6,403억 1,100만 원으로 불과 1년 만에 443%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결제 건수 역시 506만 6,566건에서 2,958만 8,024건으로 430% 증가하며, 해외여행 시 간편결제 이용이 얼마나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 왜 국내 페이 3사는 해외 결제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섰을까?

이처럼 국내 페이 3사가 해외 결제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배경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국내 간편결제 시장은 이미 카드사들과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해외 결제 시장은 엔데믹 이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QR코드 결제가 보편화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은 국내 페이 서비스들에게 큰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간편결제사 관계자는 "경쟁이 심화된 국내 시장을 넘어 성장하고 있는 해외 결제 시장 점유의 필요성을 느꼈다"며, "QR결제에 익숙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에서 강점을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카드사 vs 간편결제사, 해외 결제 시장 경쟁 심화

해외 결제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한 것은 간편결제사뿐만이 아닙니다. 기존 해외 결제 시장의 강자였던 은행계 카드사들 역시 무료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트래블 카드'를 출시하며 해외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카드 업무가 불가능한 간편결제사들은 현지 결제 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QR코드 기반의 간편결제 서비스를 확대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처럼 QR코드 결제 시스템이 보편화된 지역에서는 국내 페이 서비스들이 가진 편리함과 접근성이 큰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회사별 해외 결제 성장세 분석: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네이버페이

각 사별 해외 결제 성장세를 살펴보면, 카카오페이의 성장세가 가장 두드러집니다. 2022년 9억 4,100만 원이었던 해외 결제액은 2023년 655억 9,500만 원으로 급증했습니다. 이는 중국 알리페이, 일본 페이페이 등 현지 주요 결제 사업자와의 적극적인 제휴를 통해 빠르게 시장을 확장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해외 결제 규모 면에서는 토스페이가 가장 앞서나가는 모습입니다. 2022년 1,131억 4,200만 원에서 2023년 5,526억 1,000만 원까지 꾸준히 증가하며 3사 중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아시아 시장뿐만 아니라 미국 시장에서도 결제 건수와 금액 모두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네이버페이 역시 2022년 36억 5,100만 원에서 2023년 221억 600만 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해외 결제 이용자 유치를 위한 페이 3사의 전략

각 페이사는 해외 결제 이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QR결제가 일반적인 국가에서는 알리페이플러스, 유니온페이 등과의 제휴를 통해 QR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외 결제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현재 네이버페이는 66개국, 카카오페이는 50개국, 토스는 56개국에서 해외 결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용자 확보를 위해 네이버페이는 해외 QR결제 시 포인트 뽑기 혜택을 제공하며, 카카오페이와 토스는 해외 가맹점 결제 시 페이백 및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혜택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각 사는 프로모션 확대와 결제 가맹점 확충을 통해 해외 결제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입니다.

반응형